Contact us:
소프트웨어와 사이버 물리 시스템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보안위협으로부터 차량 시스템 및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고 시스템,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프로세스 및 조직의 구성원들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활용하여 자동차 사이버보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UNECE WP 29 사이버보안 법규와 새로운 자동차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국제표준인 ISO/SAE 21434의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수명주기 전체에 적합한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한 프로세스를 수립하고, 각 단계별로 적절한 보안 조치 적용하여 사이버 리스크를 관리하고, 자동차 보안 사고를 감지 및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수립하는 등 사이버보안 관리체계(CSMS)를 구축하고 이에 따라 차량을 개발하지 않으면 2022년 7월 이후에는 유럽에서 차량을 판매할 수 없습니다.
DNV은 자동차 기능안전, AUTOMOTIVE SPICE, SOTIF 등 오랜 시간동안 자동차 안전과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표준에 대응 가능한 자문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으며, UNECE WP29에 명시된 규제에 따라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구축하고, 개발, 생산, 생산후 단계 전반에 걸쳐서 안정성 및 보안성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.
또한, 글로벌 자동차 사이버보안 전문회사들과 함께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개발 솔루션을 제공 및 지원하고 있으며, 독립팀을 구성하여 보안 시험(침투시험, 퍼징, 취약점 점검 등)을 통해 자동차 사이버보안 역량을 평가함으로서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사가 사이버보안 역량을 개발하고 안전하고 보안이 갖춰진 자동차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.